2025. 9. 2. 13:15ㆍ꿀팁/총무.인사
📌 연차란?
연차는 근로자가 1년 동안 일한 대가로 받을 수 있는 유급 휴가입니다.
• 근로기준법 기준: 1년 이상 근무 시 15일 부여
📌 연차 계산 방법
1️⃣ 근속 연수 기준
• 1년 미만: 근무 개월 수 × 1일 (최대 11일)
• 1년 이상: 기본 15일 + 2년 이상 근속 시 추가 연차
2️⃣ 월차 계산 예시
• 6개월 근무 → 6일
• 1년 근무 → 15일
3️⃣ 연차 사용 유의사항
• 사전 신청 필요
• 미사용 연차 보상 가능 (법정 기준 준수)
📌 연차 정리 방법
연간 연차 명세표를 작성해 발생·사용·잔여 연차를 관리하면 편리합니다.
- 연차 발생/사용 기록을 지속적으로 유지
- 회계/급여팀과 연동 가능
📌 연차 처리 방법
1. 연차 신청: 사내 시스템 / 이메일 / 서식 활용
2. 승인: 팀장 또는 인사 담당자 승인
3. 사용: 사용 후 기록 반영
4. 연차 정산: 연말 또는 퇴직 시 미사용 연차 금액 정산
📌 연차 계산 기준: 입사연도 vs 회계연도
예시
- 입사연도 기준: 입사일 2025년 3월 10일 → 1년 근속 시 2026년 3월 10일부터 15일 연차 발생
- 회계연도 기준: 입사일 2025년 3월 10일 → 2025년 3월~12월 근무 10개월 × 1일 = 10일, 2026년 1월 1일부터 연차 15일 부여
💡 TIP:
- 연차 관리를 명세표 + 사내 시스템으로 함께 사용하면 누락 없이 관리 가능
- 퇴직 시 미사용 연차 정산도 잊지 마세요!
💾 **첨부 파일**
'꿀팁 > 총무.인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 나라장터 ] 공동수급협정 승인 방법 총정리 (0) | 2025.09.09 |
---|---|
[ 7편 ] 쉽고 빠른 거래명세서 작성방법 (샘플 서식 첨부) (0) | 2025.09.05 |
[5편] 신규 입사자 첫 주 필수 업무 가이드 | 체크리스트 & 단계별 안내 (0) | 2025.09.01 |
[4편] 4대보험 자격취득 신고 하는 방법 (0) | 2025.08.30 |
[3편] 명함 작성 가이드 - 필수항목 과 샘플자료 (0) | 2025.08.29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