VLOOKUP 함수 알아보기

2025. 10. 8. 11:41꿀팁/엑셀활용


1. VLOOKUP 함수란?

VLOOKUP 함수는 세로 방향(Vertical)으로 데이터를 검색하는 함수로, 특정 기준값을 찾아서 원하는 열의 데이터를 불러오는 데 사용됩니다.


예를 들어, 사원 번호를 기준으로 부서명, 직급, 급여 등을 자동으로 불러올 수 있어 인사/회계/영업 관리에서 가장 많이 쓰이는 함수 중 하나입니다.


2. 함수 구조

 
=VLOOKUP(lookup_value, table_array, col_index_num, [range_lookup])
  • lookup_value (찾을 값) : 기준이 되는 값 (예: 사원번호)
  • table_array (참조 범위) : 찾을 값을 포함한 전체 범위 (예: A2:D20)
  • col_index_num (열 번호) : 불러올 데이터가 있는 열 번호 (예: 3 → 3번째 열)
  • range_lookup (근사값 여부) : 정확히 일치하면 FALSE, 근사값이면 TRUE

3. 자주 발생하는 오류

  • #N/A : 찾는 값이 없음
  • #REF! : 열 번호가 범위를 벗어남
  • #VALUE! : 인수에 잘못된 값 입력

👉 이런 오류는 IFERROR 함수와 함께 사용하면 깔끔하게 처리할 수 있습니다.
예) =IFERROR(VLOOKUP(101, A2:D20, 3, FALSE), "데이터 없음")


4. 업무 응용 예제

(1) 인사 관리

사원 번호 입력 → 부서명/직급 자동 불러오기

H2열에 수식을 넣습니다.

=VLOOKUP(F2, $A$2:$E$6, 3, FALSE) → 부서명

 

H2열에 수식을 넣습니다.

=VLOOKUP(F2,  $A$1:$E$6 , 4, FALSE) → 직급

 

 


 
 
 (2) 매출 관리
  • 상품 코드 입력 → 상품명와 단가 자동 조회
G9에 수식을 넣습니다.
=VLOOKUP(E9, $A$8:$D$13, 2, FALSE) → 상품명 
 

G9에 수식을 넣습니다.

=VLOOKUP( E9, $A$8:$D$13, 3, FALSE) → 단가


5. 활용 팁

  1. 정확히 일치할 경우는 무조건 FALSE를 사용하세요. (TRUE는 근사값 → 숫자 범위 매칭용)
  2. 표 범위를 선택할 때는 **절대참조($)**를 걸어야 복사할 때 수식이 깨지지 않습니다.
    =VLOOKUP(F2, $A$2:$D$20, 3, FALSE)

📂 예제 파일 제공

제가 바로 활용 가능한 업무용 VLOOKUP 예제 엑셀 파일을 만들어 드릴게요.
구성은 이렇게 할게요:

  • 시트1: 인사 관리 (사원번호 → 부서명/직급/연봉)
  • 시트2: 매출 관리 (상품코드 → 상품명/단가/거래처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