엑셀 시간 함수 활용 예제|근무시간·초과근무시간 자동 계산하기

2025. 10. 9. 10:13꿀팁/엑셀활용

 

엑셀로 근무시간을 계산할 때,단순히 “퇴근시간 - 출근시간”만 하면 될 것 같지만 실제로는 그렇지 않습니다.
특히 자정을 넘기는 근무초과근무 수당 계산, 그리고 일상 업무 시간 관리까지 고려하면 조금 복잡해집니다.

 이번 글에서는 엑셀의 시간함수(HOUR, MINUTE, SECOND, IF, SUMIF 등) 를 활용해
현실적인 근무시간표를 자동 계산하는 방법과 일반적인 시간 관리 활용 사례까지 예제 중심으로 정리했습니다.


1. 근무시간 기본 계산

엑셀은 시간을 하루를 1로 보는 비율로 계산합니다.

  • 1시간 = 1/24
  • 8시간 = 8/24 ≈ 0.3333

따라서 기본 근무시간 계산은 퇴근시간 - 출근시간으로 충분합니다.

이름 출근 퇴근 근무시간(수식)
김미나 09:00 18:00 =퇴근시간-출근시간

 TIP: 셀 서식을 [h]:mm로 변경하면 9시간처럼 시간 형식으로 표시됩니다.


2. 자정 넘는 근무시간 처리

야간 근무(22:00~06:00)처럼 자정을 넘기는 경우, 단순 계산 시 음수가 나옵니다.

엑셀은 시간을 ‘하루 중의 비율’로 인식하기 때문이에요.

  • 22:00 → 0.9167
  • 06:00 → 0.25
    → 0.25 - 0.9167 = -0.6667 (잘못된 결과)

이럴 땐 날짜를 하루 더해주는 조건식이 필요합니다.

=IF(퇴근시간<출근시간, 퇴근시간+1-출근시간, 퇴근시간-출근시간)

 

이 식의 의미는, 퇴근시간 < 출근시간 → 자정을 넘겼다는 뜻이므로 +1로 하루 더하기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그 외의 경우 → 같은 날이므로 단순 뺄셈

 

예를 들어

  • 22:00~06:00 → 06:00+1-22:00 = 0.3333 → 8시간
  • 09:00~18:00 → 18:00-09:00 = 0.375 → 9시간

이렇게 하면 어떤 형태의 근무라도 정확히 계산됩니다.


 3. 초과근무시간 계산하기

기본근무 8시간을 초과하는 시간만 계산하려면, =IF(근무시간>8/24, 근무시간-8/24, 0)

여기서 8/24는 “8시간”을 의미합니다. (엑셀에서 1은 24시간을 뜻하기 때문에 8시간은 1/3, 즉 0.3333이에요.)

이름 근무시간 초과근무시간 수식
김미나 9:00 =IF(C2>8/24,C2-8/24,0)
이사원 7:30 0
박두나 10:00 2:00

이 식의 로직은 간단합니다.

  • 근무시간이 8시간 초과 → 초과된 시간만 계산
  • 8시간 이하 → 0 표시

 4. 초과근무수당 자동 계산

시간당 수당이 12,000원이라면 다음처럼 합니다.

 
=IF(근무시간>8/24, (근무시간-8/24)*24*12000, 0)

 

이 수식은 다음 순서로 계산돼요 

① 근무시간 - 8/24 → 초과된 시간 (단위: ‘일’ 기준 비율)
② *24 → 일 단위를 시간으로 환산 (예: 0.0417일 × 24 = 1시간)
③ *12000 → 시간당 단가를 곱해서 금액으로 변환

 

결국,

  • 9시간 근무 → (9-8)*12,000 = 12,000원
  • 10시간 근무 → (10-8)*12,000 = 24,000원

이런 식으로 자동 계산됩니다.

이름 초과근무시간 초과수당
김미나 1:00 12,000원
박두나 2:00  

5.  부서별 근무시간 합계 (SUMIF 응용)

부서별 근무시간 합산:

=SUMIF(부서범위, "영업팀", 근무시간범위)


부서 이름 근무시간
영업팀 김미나 9:00
영업팀 이사원 7:30
총무팀 박두나 10:00

엑셀 수식 예제 이미지캡쳐
결과값 0.6875를 셀 서식으로 수정하기

 

TIP: 합계 결과가 0.6875처럼 소수로 나와도 걱정하지 마세요.

엑셀은 1=24시간으로 계산하기 때문에 0.6875 × 24 = 16.5시간 → 16:30입니다.

합계 셀을 사용자 지정  [h]:mm 형식으로 바꾸면 16:30처럼 표시됩니다.


6.시간함수 일반 활용 사례

시간함수는 초과근무 계산 외에도 다양한 상황에서 활용됩니다.

함수 용도 예시
HOUR() 시간만 추출 HOUR("14:30") → 14
MINUTE() 분만 추출 MINUTE("14:30") → 30
SECOND() 초만 추출 SECOND("14:30:45") → 45
NOW() 현재 시간 표시 NOW() → 2025-10-09 09:25
TIME(시,분,초) 시간 생성 TIME(14,30,0) → 14:30

엑셀화면에 응용

TIP: 시간 기재시 셀서식에 사용자지정에 h:mm:ss  시간변환함수로 변경해야함.


활용 예시

  • 프로젝트 시작~종료 시간 계산
  • 장비 가동시간 기록
  • 고객 상담 시간 체크
  • 근태 관리 및 근무표 자동화

6.  마무리

엑셀 시간함수는 단순 계산을 넘어서

  • 근무시간 자동 계산
  • 초과근무 및 수당 계산
  • 프로젝트/장비/고객 관리

등 다양한 업무를 자동화할 수 있는 핵심 도구입니다.

이번 글에서 배운 자정 근무 처리, 초과근무 계산, SUMIF 응용, 일반 시간함수 활용까지 적용하면
매달 근무표와 수당 계산이 자동으로 완성되는 엑셀 스마트 근무관리를 실현할 수 있습니다. 👍